Web hosting 업체를 이용하는 이유
- 웹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 늘 켜져있는 컴퓨터가 필요하고, 웹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그 사용법을 공부해야한다. 또한 집 밖에서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조치들을 해야하는 등 개인이 하기엔 힘들다.
- 웹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컴퓨터인 host(인터넷이 연결 된 컴퓨터)를 빌려주는 회사가 web hosting업체이다.
- 내가 만든 html파일을 웹호스팅업체에 저장 해두면, 업체에서 웹서버를 빌려줘서, 웹브라우저에서 내가 만든 웹사이트를 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내가 웹서버를 운영하지 않아도 호스팅업체에서 서버를 빌려주고 다른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서도 내가 만든 웹사이트를 열어 볼 수 있게 된다.
Web hosting 업체 Github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5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 깃헙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유명한 사이트로 수많은 오픈소스들이 만들어지는 곳이다.
- 무료로 웹서버를 빌려주는 일도 한다.
Github 사용법
1. 회원가입
2. 저장소 만들어주기
New repository 클릭(보통 1개의 프로젝트에 1개의 저장소를 이용한다.)
저장소 이름 작성 - Public 선택(Private은 5개정도 무료로 쓸 수 있고 보안이 중요한 코드의 프로젝트를 올린다.) - Add a README file 선택 - Create repository 클릭
저장소 이름 작성 - Public 선택(Private은 5개정도 무료로 쓸 수 있고 보안이 중요한 코드의 프로젝트를 올린다.) - Add a README file 선택 - Create repository 클릭
3. 작업 파일 올리기
Upload files 클릭 - choose your files 클릭 - Commit changes(수정한 파일 올릴 때마다 수정한 내용 써주기)
4. 저장소 설정 바꾸기
Setting 클릭 - Github Pages 찾아서 Branch:main 선택 후 Save - 주소생성
주소 입력해도 페이지가 오류 뜨는 경우 : 주소/index.html 붙여주기
Web hosting 업체들
- 현업에서 웹서버를 운영 할 때 직접 운영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맡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다른 업체들 검색하는 방법
'free static web hosting' 검색 : html 파일만을 서비스하는 웹호스팅 업체들.
- 생활코딩 추천 업체들
미래에는 사라질 수도 있고 인기순위가 바뀔 수도 있으니 스스로 검색해서 찾는 능력을 키우자!
* Amazon S3
* Google Cloud Storage
* Azure Blob
오늘의 느낀점
깃헙 사이트에 설정이나 버튼 이름이 인강시기와는 달랐다. 아마 계속 웹을 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속에서 바뀌는게 아닐까? 미래에 어떤 모습으로 바뀔지 모르니 당장 사이트 사용법을 달달 외우는게 아니라 그 시기에 맞게 검색해서 적용하는 능력을 키워야 할 것 같다.
'개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Library & Framework) (0) | 2020.12.09 |
---|---|
[Internet] 웹서버와 웹브라우저의 통신(feat. http) (0) | 2020.11.16 |
[Internet] Web과 Internet(feat.서버와 클리이언트) (0) | 2020.11.13 |
명령 프롬포트의 기본적인 사용법 (0) | 2020.11.05 |
통합개발환경(IDE) 소개 (0)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