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공부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s) 복잡한 문자열을 처리하는 기법으로 파이썬 외에도 문자열을 처리하는 모든 곳에서 사용한다. 파이썬은 정규 표현식을 지원하기 위해 re모듈을 제공한다. re(regular expression의 약어)모듈은 파이썬 설치시 자동으로 설치되는 기본 라이브러리다. import re p = re.compile('패턴') 메타문자 메타문자를 사용해서 특별한 의미를 갖게한다. 정규표현식에서 사용하는 메타문자들 => . ^ $ * + ? { } [ ] \ | ( ) 1. 문자클래스 : [ ] => []사이의 문자들과 매치 [] : 문자 [a] : a문자 [a-z] : 소문자 [A-Za-z] : 영문자 [0-9A-Za-z] or \w : 영문자+숫자 \W : 영문자+숫자가 아..
try, except문 1. try, except만 쓰기 : 오류 종류에 상관없이 오류 발생하면 except블록 수행 try: ... except: ... try: idx = "python".index("a") print(idx) except: print("문자열에는 a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2. 발생 오류만 포함한 except문 : 미리 써놓은 특정 오류 발생하면 except블록 수행 try: ... except 발생오류: ... try: print(4/0) except ZeroDivisionError: print("0으로는 나눌 수 없습니다.") # 0으로는 나눌 수 없습니다. 3. 발생 오류와 오류메시지 변수까지 포함한 except문 : 오류메시지내용까지 알고 싶을 때 try: ... exce..
모듈이란 함수나, 변수, 클래스를 모아 놓은 파이썬 파일이다. 이미 만들어 놓은 모듈을 불러와서 사용 할 수 있다. 모듈 만들기 : 함수들의 모임 if __name__=="__main__": 다른 파이썬 모듈에서 파이썬 파일을 import 할 경우 실행하기 원하지 않는 문장들 모듈의 이름이 __name__변수에 저장되어서, 실행되고 있는 파일명이 저장 된 __main__와 다르면 실행하지 않는다. #mod1.py def add(a,b): return a+b def mul(a,b): return a*b def sub(a,b): return a-b def div(a,b): return a/b if __name__=="__main__": print(add(1,2)) print(mul(4,3)) print(su..
파이썬에서 클래스는 사용자 정의 자료형으로, 멤버변수와, 멤버함수(메서드)로 이루어져 있고,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객체로 찍어내서 사용한다. 객체는 각자 고유한 성격을 가지고, 조금 변형 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객체나, 클래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다중상속이 가능하다. class 클래스명: def 메서드명(self,매개변수1,매개변수2,...): pass def __inif__(self): pass 객체명1 = 클래스명() 객체명1.메서드명(입력인수1,입력인수2) 객체명2 = 클래스명() 클래스명.메서드명(객체명2, 입력인수1, 입력인수2,...) => 클래스명은 대문자로 시작한다. => 객체는 클래스를 담는다. 특정객체는 특정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도 부른다. => self는 자기참조변수로 인스..
컴프리헨션(Comprehension) 파이썬에서는 컴프리헨션이라는 문법을 지원한다. 컴프리헨션은 list, dictionary, set을 간단하게 생성 하는 방법이다. 컴프리헨션 방식으로 리스트(list) 데이터 저장하기 ### 리스트에 1~10까지의 데이터 저장하기 # for문 방식 numbers=[] for n in range(1, 11): numbers.append(n) # comprehension 방식 numbers=[x for x in range(1,11)] ### 조건걸기 - 1~10까지의 숫자 중 홀수만 저장하기 # for문 방식 odd = [] for n in range(1,11): if n % 2 == 1: oddNums.append(n) # comprehension 방식 oddNums=..
불(bool) 불(bool) 자료형은 참(True)과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불 자료형은 이 2가지만 가능하며, 첫 문자를 항상 대문자로 사용해야 한다. 불 사용법 a = True b = False print(type(a)) # print(type(b)) # 1==1 # True 1>2 # False 1!=3 # True 자료형의 참과 거짓 자료형 값 참 or 거짓 문자열 "python" 참 "" 거짓 리스트 [1,2,3] 참 [] 거짓 튜플 () 거짓 딕셔너리 {} 거짓 숫자형 0이 아닌 숫자 참 0 거짓 None 거짓 bool(None) # False bool(0) # False bool("abc") # True
집합(set) 집합은 파이썬 2.3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자료형이다.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어서(Unordered) 인덱싱으로 값을 얻을 수 없다. 인덱싱을 하고 싶으면 리스트나(list(집합명)), 튜플(tuple(집합명))로 변환해서 사용해야 한다. 집합 사용법 집합명 = set(집합으로 만들 값들) 집합으로 만들어주는 값에 중복이 있다면 중복 된 값은 한 하나만 추가된다. s1 = set()#비어있는 집합 자료형 s2 = set([1,2,3])#s2={1,2,3} s3 = set("Hello")#s3={'H', 'e', 'l', 'o'} 1. 교집합(&, intersection()) s1 = set([1,2,3,4,5,6]) s2 = se..
딕셔너리(Dictionary)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자료형을 연관배열(Associative array) 또는 해시(Hash)라고 한다. 파이썬에서 이런 자료형을 딕셔너리라고 부른다.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를 한쌍으로 갖는다. 또한 딕셔너리는 리스트나 튜플처럼 순차적으로(sequental) 해당 요솟값을 구하지 않고 Key를 통해서 Value을 얻는다. 딕셔너리 사용법 딕셔너리명={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 ···} key 값으로는 변하지 않는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리스트를 사용 할 수 없고 중복된 값을 사용 할 수 없다. value값은 변하는 값과 변하지 않는 값 모두를 사용 할 수 있다. dic1={'name':'ksm', 'birth':..
튜플(tuple) 리스트처럼 여러가지를 모아서 표현하는 자료형으로 리스트와 차별점은 요소의 값들을 생성, 삭제, 수정이 불가능하다. 튜플 사용법 튜플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or 튜플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튜플명 = (요소1,) - 1개의 요소만 가질 때는 요소 뒤에 콤마를 반드시 붙여야 한다. a = () b = (1,) c = (1, 2, 3) d = ('a', 'b', (1, 2, 3)) e = 1, 2, 3 튜플 특징 요솟값은 한 번 정하면 지우거나 변경 할 수 없다.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동안 그 값이 변하지 않기 원한다면 튜플을 사용해야 한다. 실제 프로그램에서는 값이 변경되는 형태의 변수가 훨씬 많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튜플보다는 리스트를 더 많이 사용한다...
리스트(List) 숫자 중 홀수만 모아 두는 것처럼 여러가지를 모아서 표현하는 자료형. 리스트 사용법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 a = [] b = [1, 3, 5, 7] c = ['Life', 'is', 'too', 'short'] d = [1, 'a', 'short'] e = [['Life', 'is'], [1, 2, 3], 'a', 'b']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Indexing and Slicing) 리스트안에 요소들을 순서대로 번호를 붙인다. 첫 번째 요소를 뜻하는 숫자 0을 시작으로 숫자를 붙이고 마지막 자리부터는 -1을 시작으로 숫자를 붙인다. 1. 인덱싱(Indexing) 변수명[번호]를 사용하여 리스트 안의 요소를 뽑아 내는 역할을 한다. a = [1, ..
개발원슝이
'파이썬공부'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