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variable)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 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이름이 붙은 저장소'
- 변수 선언
- let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를 생성
- let 변수명;
- 변수안에 데이터 할당
- 할당 연산자 = 사용
- 변수명 = '데이터값'
- 한 줄에 여러 변수 선언 가능 : let 변수1 = 값1, 변수2 = 값2, 변수3 = 값3;
- let 을 사용할 경우 변수 선언은 한 번만 가능(여러 번 선언시 에러 발생)
- use strict 없이 할당하면 let을 사용해서 변수선을 하지 않고, 단순 할당만으로 변수가 생성 됨
변수 명명 규칙
식별자(identifier)란 변수나 함수의 이름을 사용하기 위해 프로그래머가 만든 단어로 규칙이 있다.
- 이름의 첫 글자는 반드사 문자나, '_', '$'로 시작해야 하고 숫자로 시작 할 수 없다.
- 숫자(상수)는 변수로 사용 할 수없다.
-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HTML의 요소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 특별한 용도로 쓰려고 정해 놓은 키워드와 예약어는 사용 할 수 없다.(while, if, name-25 등)
대입연산자
- 기본적으로 "="를 사용
- 연산자 오른쪽의 실행 결과를 왼쪽의 변수에 저장하는 것
- +=, -_, *=, /=, %= 처럼 대입연산자와 산술연산자를 결합하여 사용하면 소스가 간결해짐
- x = x + y ========> x += y
상수(constant)
- 변화하지 않는 변수 선언시 const를 사용해서 선언
- const로 선언한 변수
- 재할당할 수 없고, 재할당시 오류 발생
- 절대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 확신하는 변수에 사용
대문자 상수
- 기억하기 힘든 값을 변수에 할당해 별칭으로 사용
- 대문자와 밑줄로 구성
- const COLOR_RED = "#F00";
- 코드 실행전에 값을 알고 있는 상수에 사용(런타임 과정에서 계산되어 변하지 않는 상수는 대문자 상수로 사용 X)
'프로그래밍언어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JS 조건문 (0) | 2020.12.04 |
---|---|
[JavaScript] 이벤트 onclick (0) | 2020.12.03 |
[JavaScript] JavaScript 기본, 자료형 (0) | 2020.12.03 |
[JavaScript] JavaScript 사용법 (0) | 2020.12.03 |
[JavaScript] JavaScript란? (0) | 2020.12.03 |